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
CORS
크로스 브라우징
크로스 브라우징은 웹 표준에 따라 서로 다른 OS 나 플랫폼에 대응하는 것을 말합니다.
브라우저별 렌더링 엔진이 다른 상황에서도 문제없이 동작하게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
서버 사이드 렌더링 vs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
- SSR (Server-Side Rendering)
- 서버에서 페이지를 그려 클라이언트(브라우저)로 보낸 후 화면에 표시하는 기법을 의미합니다.
- 장점: 서버에서 미리 그려서 브라우저로 보내주기 때문에 초기 렌더링 속도가 빠릅니다.
- 단점: 이후 매 요청마다 서버에서 새로운 화면을 만들어 제공해주기 때문에 부하가 큽니다.
- CSR (Client-Side Rendering)
- 서버에서 받은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인 브라우저에서 렌더링을 해주는 방식입니다.
- 장점: 사용자 행동에 따라 필요 부분만 다시 읽어들이기 때문에, 빠른 인터렉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- 단점: 초기 구동 속도가 느립니다.
브라우저 저장소[Cookie, LocalStorage, SessionStorage]
- Cookie
- 쿠키는 HTTP 요청 시 자동으로 헤더에 포함되어 전송되기 때문에, 주로 인증 정보와 같이 서버와의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며, 용량이 클 경우 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, 일반적으로 용량을 4KB로 정도로 제한합니다.
- 사용 예시: 로그인 유지
- LocalStorage & SessionStorage
- 쿠키와는 달리 HTTP 요청 시 자동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, 비교적 대용량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관리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
- 쿠키와는 달리 HTTP 요청 시 자동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, 비교적 대용량의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측에서 관리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
- LocalStorage
- 웹 브라우저를 닫아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.
- 사용 예시: 테마 등 사용자 설정
- SessionStorage
- 웹 브라우저가 닫히면 데이터가 자동으로 제거됩니다.
- 사용 예시: 입력 폼 상태 저장
'[Study] 개발 공부 > [Study] Interview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tudy] 서버 사이드 렌더링 vs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(0) | 2025.03.24 |
---|---|
[Study] CORS (0) | 2025.01.10 |
[Study] 웹 브라우저 동작 원리 (1) | 2024.1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