앞으로 개인 프로젝트에서 자주 쓸 것 같아 정리하는 상태 코드 별 에러 메시지를 블로그에 기록해본다!
const getErrorMsg = (status) => {
switch (status) {
case 400:
return "🚨 잘못된 요청입니다. 다시 확인해주세요.";
case 401:
return "🔒 인증이 필요합니다. 로그인 후 시도해주세요.";
case 403:
return "⛔ 접근이 거부되었습니다.";
case 404:
return "❌ 찾을 수 없는 데이터입니다.";
case 500:
return "🔥 서버 오류가 발생했습니다.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.";
case 503:
return "⚠️ 현재 서버가 점검 중입니다.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.";
default:
return `❗ 알 수 없는 오류 (Error Code: ${status})`;
}
};
'[Study] 개발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anilla-JS] 고양이 사진 검색 사이트😺: 상세 기능 구현 (0) | 2025.03.13 |
---|---|
[Vanilla-JS] 고양이 사진 검색 사이트😺 (0) | 2025.03.10 |
Vercel로 프론트엔드 프로젝트 배포해보기 (0) | 2024.06.28 |
mousedown와 click의 차이: 버블링 (0) | 2024.06.24 |
AWS EC2 배포 해보기 (1) | 2024.06.07 |